반응형
땀이 송글송글 맺히고 더워지는 요즘 더불어우리아이들에게 전염성질병
들이찾아오는대요. 5~8월 유행하는 유행하는 수족구 질환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 저희 아이도 걸린 전염성이 강한 수족구 ..
<수족구란>
장바이러스에의해 생기는 질환 으로 입안에 궤양이 생기는 구내염을 시작으로 2ㅡ3일 내에 몸에 수포가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감염경로>
감여자의 대변 이나 침 가레 콧물 수포의진물 등에 의해 감염이 됩니다.
<감염연령>
주로 만5세 미만에 영유아 친구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면역이 약한 친구들은 합병증을 유발 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저희 조카는 후두염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주요증상>
-전신증상-
:발열 ㅡ38도 이상의 고열
:식욕부진 ㅡ수족구는 구내염이 대분분 먼저 시작되기때문에 아이들이 갑자기 먹지 못한다면 입안을 잘 살펴 봐야 합니다.
:기운이 없고 의욕이 없어짐 ㅡ 저희아이는 평상시에는 숲체험을 나가면 방방 뛰어 다녔는데 갑자기 보챔이 심하였습니다.
-위장증상-
:설사를 하거나 구토를 할수도 있답니다.
-수포 발진-
:열이나고 1~2일이 지나면 입안에 궤양이나 수포가 생기는 구내염으로 시작합니다.
:구내염이 시작하고 1~2일후 부터 몸에 발진이나 수포가 생기는 수족구 증상이 생깁니다. 안에서 밖으로 위에서 아래로 발진이나 수포가 생기니 입주변이나 손 발을 잘 살펴 봐야합니다.
수족구병은 대부분 회복기간까지 일주일 정도 걸리는데 치료제가 특별하게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보통 초기에 심한 고열이 나므로 해열제와 설사로 인한 유산균을 처방해 주기도 하며 심한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해 주는데 수족구 발진 범위가 넓을때는 항바이러스제를 쓰기도 한다고 의사선생님이 말씀해 주셨습니다.자연적으로 7일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 된다고 합니다.
구내염이 심해지면서 통증의 음식 섭취가 어려운 경우 수액치료를 하는 친구들도 있다고 합니다.
구내염이 심할 때 쓰는 스프레이 형식의 뮤테라실과 탄튬을 치료제를 처방받았는대요. 구내염에 효과적이라고 하더라구요. 의사에게 상의해 보시고 사용해 보세요.
<수족구일때 음식>
구강내 궤양이 있어 아이가 음식을 삼키는데 아주 고통스러워 합니다. 이때는 아이가 원하는 음식으로 주되 음식을 차게 해서 주면 통증을 좀 줄일 수 있습니다. 너무 먹지 못할 경우 이온음료나 부드러운 아이스 크림을 주기도 합니다.
:현재까지는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에 신경을 쓰는것이 최선인듯합니다.
-참고로 저희아이는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데 어린이집에 다니는 수족구잠복기 친구와 키즈키페에서 놀고 물한병을 입을 대고 마셨다가 전염이 되었습니다. -
:외출 후 식사 전 대소변을 본 후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요즘 시판되는 손 소독제를 가지고 다니며 개인위생을 지키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족구 발병시기인 5-8월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곳 피하는시기 바랍니다.
:기관에 다니는 어린이들은 수족구가 발병 했을시 반드시 원에 연락을 해 주시고 병원을 다니면서 아이의 상태를 체크하시면서 다 나았다는 확진을 받고 원에 등원하셔야 합니다.
<손씻기 방법>
★어느 글을 보았는데 어린이집에 보낸는어머님이자기아이의반친구들이10명인데9명이 수족구에 걸렸다고 원이 원망스럽 다는 글을보았습니다. 수족구는 이토록 전염이 강한 병입니다. 발병했을 때 즉시 원에 알려 원에서 더 소독을 철저히 하고 원에서는부모님들께알려 아이들을 격리 시킬 있도록해야 2차 감염자들을 줄일수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도 아이들의 면역을 지킬 있도록사람많은 곳을 피하시고 손씻기 부터 제대로 해서 우리 아이에게 고통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이시간에도 수족구질병과의 싸움때문에 고생하시 는 부모님들 힘내세요.
들이찾아오는대요. 5~8월 유행하는 유행하는 수족구 질환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 저희 아이도 걸린 전염성이 강한 수족구 ..
<수족구란>
장바이러스에의해 생기는 질환 으로 입안에 궤양이 생기는 구내염을 시작으로 2ㅡ3일 내에 몸에 수포가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그림 네이버 백과사전-
<감염경로>
감여자의 대변 이나 침 가레 콧물 수포의진물 등에 의해 감염이 됩니다.
<감염연령>
주로 만5세 미만에 영유아 친구들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면역이 약한 친구들은 합병증을 유발 하기도 합니다. 참고로 저희 조카는 후두염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주요증상>
-전신증상-
:발열 ㅡ38도 이상의 고열
:식욕부진 ㅡ수족구는 구내염이 대분분 먼저 시작되기때문에 아이들이 갑자기 먹지 못한다면 입안을 잘 살펴 봐야 합니다.
:기운이 없고 의욕이 없어짐 ㅡ 저희아이는 평상시에는 숲체험을 나가면 방방 뛰어 다녔는데 갑자기 보챔이 심하였습니다.
-위장증상-
:설사를 하거나 구토를 할수도 있답니다.
-수포 발진-
:열이나고 1~2일이 지나면 입안에 궤양이나 수포가 생기는 구내염으로 시작합니다.
(발열 후 2일이 지난 후 아이의 목상태 병원에 가니 수족구 초기증상 이라고 말함)
:구내염이 시작하고 1~2일후 부터 몸에 발진이나 수포가 생기는 수족구 증상이 생깁니다. 안에서 밖으로 위에서 아래로 발진이나 수포가 생기니 입주변이나 손 발을 잘 살펴 봐야합니다.
<치료방법>
수족구병은 대부분 회복기간까지 일주일 정도 걸리는데 치료제가 특별하게 있지는 않다고 합니다. 보통 초기에 심한 고열이 나므로 해열제와 설사로 인한 유산균을 처방해 주기도 하며 심한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처방해 주는데 수족구 발진 범위가 넓을때는 항바이러스제를 쓰기도 한다고 의사선생님이 말씀해 주셨습니다.자연적으로 7일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 된다고 합니다.
구내염이 심해지면서 통증의 음식 섭취가 어려운 경우 수액치료를 하는 친구들도 있다고 합니다.
구내염이 심할 때 쓰는 스프레이 형식의 뮤테라실과 탄튬을 치료제를 처방받았는대요. 구내염에 효과적이라고 하더라구요. 의사에게 상의해 보시고 사용해 보세요.
:뮤테라실 가격운 3만5천원 이며 보험이 가능합니다. 무향 무취이고 젤 같은 타입이며 뿌린후 30초에서 1분간 말려 주셔야 합니다. 구내염에 효과가 좋습니다.
:탄튬 가격은 8천원 이며 보험적용은 되지 않습니다. 이건 4kg당 1번씩 뿌려 주면 되는데 저희아이는 17kg이라 4번 정도 뿌려 주었습니다. 이건 물처럼 나오며 치약향과 맛이 납니다.이건 입안에 상처가 있을땐 사용하지 마시고 아물었을 때 소독용으로 추천드립니다.
<수족구일때 음식>
구강내 궤양이 있어 아이가 음식을 삼키는데 아주 고통스러워 합니다. 이때는 아이가 원하는 음식으로 주되 음식을 차게 해서 주면 통증을 좀 줄일 수 있습니다. 너무 먹지 못할 경우 이온음료나 부드러운 아이스 크림을 주기도 합니다.
<수족구 예방법>
:현재까지는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에 신경을 쓰는것이 최선인듯합니다.
-참고로 저희아이는 어린이집에 다니지 않는데 어린이집에 다니는 수족구잠복기 친구와 키즈키페에서 놀고 물한병을 입을 대고 마셨다가 전염이 되었습니다. -
:외출 후 식사 전 대소변을 본 후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합니다.
:요즘 시판되는 손 소독제를 가지고 다니며 개인위생을 지키는 것을 추천합니다.
:수족구 발병시기인 5-8월 시기에는 사람이 많은 곳 피하는시기 바랍니다.
:기관에 다니는 어린이들은 수족구가 발병 했을시 반드시 원에 연락을 해 주시고 병원을 다니면서 아이의 상태를 체크하시면서 다 나았다는 확진을 받고 원에 등원하셔야 합니다.
<손씻기 방법>
손을 대충 씻으면 안 씻으니만 못하다고 하죠 !!깨끗하게 손씻기를 해서 아이들의 건강을 지켜주세요.
★어느 글을 보았는데 어린이집에 보낸는어머님이자기아이의반친구들이10명인데9명이 수족구에 걸렸다고 원이 원망스럽 다는 글을보았습니다. 수족구는 이토록 전염이 강한 병입니다. 발병했을 때 즉시 원에 알려 원에서 더 소독을 철저히 하고 원에서는부모님들께알려 아이들을 격리 시킬 있도록해야 2차 감염자들을 줄일수있습니다. 또한 가정에서도 아이들의 면역을 지킬 있도록사람많은 곳을 피하시고 손씻기 부터 제대로 해서 우리 아이에게 고통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겠습니다.
이시간에도 수족구질병과의 싸움때문에 고생하시 는 부모님들 힘내세요.
반응형
'-유아, 아동 놀이 및 발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놀이 안전수칙 (0) | 2019.07.08 |
---|---|
춘장대해수욕장/서천바다 (0) | 2019.07.07 |
아이와세종국립도서관 체험기 (0) | 2019.06.25 |
아이와 베란다텃밭 만들기 (4살 아이 활동) (0) | 2019.06.16 |
식물 키우기ㅡ잔디인형 키우기 (0) | 2019.06.07 |
댓글